최근 MZ 세대가 할머니 세대의 문화나 음식에 푹 빠져들면서 '할매니얼'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는데요, <br /> <br />이런 소비 트렌드 때문인지 식혜나 약과 같은 전통 먹거리도 덩달아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전통 식품 제조에 반드시 들어가는 게 보리 엿기름인데, 농진청이 엿기름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품질은 업그레이드한 표준화 제조공정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보리 엿기름은 식혜나 약과 같은 전통 식품의 맛과 풍미를 좌우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역에 따라 품종도, 제조 방법도 제각각이다 보니 표준화 작업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 엿기름은 기름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보리에 물을 부어 싹이 트게 한 다음 잘 말린 뒤 알갱이만을 빻아서 가루로 만든 겁니다. <br /> <br />수확 작업이 한창인 이곳에 심어진 보리는 농촌진흥청이 2006년 엿기름 특화용으로 개발한 '혜미'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군산에서 계약 재배를 통해 100톤을 수확할 예정인데, <br /> <br />농진청이 개발한 표준화 제조공정에 따라 엿기름을 만들었더니 시판 제품보다 효소 역가는 1.7배, 당화력은 1.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열흘 이상 걸리던 엿기름 제조 시간도 획기적으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엔 보리를 물에 담갔다 건지기를 이틀간 반복하고 6일간 싹을 틔워 닷새 이상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비해 표준화 제조공정은 침맥과 건조 시간이 크게 단축돼 제조까지 6.3일로 절반 가까이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선우 / 군산시 농업기술센터 먹거리정책과 : 엿기름 전용 품종인 혜미로 만들었을 때 일반 겉보리로 만들었을 때보다 풍미라든가 당화력, 또 식혜 제품에서 훨씬 우수한 제품 품질을 보여주기 때문에 가공업체에서 혜미 품종을 원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렇게 생산된 혜미 엿기름은 전량 식혜 제조업체에 공급됩니다. <br /> <br />기존에 사용하던 엿기름과 비교해 제품 경쟁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습니다. <br /> <br />[홍준기/ 식혜가공업체 연구소장 : 저희가 몇 번의 테스트를 했습니다. 농진청에서도 테스트를 했고 저희도 자체적으로 테스트를 여러 번 했는데 거의 80%, 90%가 혜미 쪽의 엿기름이 상당히 정갈하고 옛날 전통의 식혜 맛이 난다, 그렇게 품평 결과를 얻게 됐습니다.] <br /> <br />엿기름을 사용한 전통식품 관련 매출액은 한해 4,500억 원가량으로 추산됩니다. <br /> <br />혜미 품종 재배가 늘고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60818432027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